[애틀랜타 프리즘] 한인회가 꼭 해야 할 일 한가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더욱 기승을 부리며 우리를 암울하게 하는 임인년 새해에 한줄기 희소식이 들려왔다. 귀넷 카운티에 거주하는 한인 등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모국어로 번역된 선거 관련 자료들을 받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지난 2020년 디캡 카운티가 조지아주에서는 처음으로 선거 자료의 한국어 서비스를 시행한 데 이은 쾌거이다. 귀넷 카운티는 한인들이 밀집해 있어 파장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2019 년 미국 인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조지아 거주 아시아인들의 2/3가 귀넷 카운티를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다. 이번에 추가된 언어는 한국어를 비롯, 베트남어, 만다린어, 광동어 등 아시아 4개국어. 이를 계기로 한국계를 포함, 아시안 아메리칸들의 선거 참여가 더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이 같은 성과가 있기에는 무엇보다 이를 위해 발로 뛴 한인단체들의 기여가 컸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실제 아시안아메리칸정의진흥협회(AAAJ) 애틀랜타지회를 포함한 많은 비영리 단체와 자원 봉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여, 한인 유권자들이 편하고 쉽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은 조지아 전역에서 수년전부터 유권자의 권익과 영어 이외 추가언어 사용을 각 카운티 정부에 요구해왔다. 아난 게 아니라 2020년 대선과 조지아 상원의원 결선 투표에서 한인 커뮤니티를 비롯 아시아계 커뮤니티는 전에 없던 활발한 선거운동을 펼쳤다. 특히 한인단체가 앞장섰다. 실례로 지난해 상원의원 결선 투표일에 한인 유권자들이 많은 둘루스 헐 중학교 투표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자원봉사 단체 관계자들이 투표소 안내와 통역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했다. 덕분에 지역 아시안 아메리칸 유권자들의 투표율은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풀뿌리운동이다. 한인들의 정치력이 크게 신장되었음은 물론이다. 이런 가운데 조지아는 지난 대선을 기점으로 새로운 미국 정치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투표권 확대 법안 처리를 위해 올들어 첫 유세 장소로 애틀랜타를 찾은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 조지아주의 7번째 선거구 조정과 같은 주요 정치적 이슈에 대해 아시아인들의 영향력을 확대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이다. 가야할 길은 아직 멀다. 현재 투표 용지는 영어와 스페인어 두개의 언어로만 제공된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투표와 선거에 관련, 오래전부터 영어 외에 한국어 등 9개국 언어로 유권자 정보 및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투표를 한국어로도 할 수 있다. 조지아에서도 멀지 않아 실제 투표 용지도 한국어로 번역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뉴욕시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앞으로 미국 시민권자가 아니더라도 영주권 등 합법 체류자격이 있다면 투표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만큼 이민자들의 정치역량이 커졌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애틀랜타한인회 등 지역 커뮤니티 대표단체가 나가야 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한인 커뮤니티는 지속적으로 투표에 참여해 유권자의 힘을 모으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몇몇 사람들의 노력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 한인 커뮤니티 전체가 합심해야 한다. 애틀랜타 한인회는 이에 따라 앞으로 이런 역할을 하는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 한인회장도 이에 발맞춰 아이디어를 모으고, 관련 단체를 아우르는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나아가 차세대를 육성, 정부기관과 주 의회 등 정치권에서 일하는 한인들이 많아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마땅하다. 한인들의 정치역량이 커지면 민주당과 공화당 후보자들이 앞다퉈 지지를 호소하며 한인커뮤니티를 찾을 것이다. 그래야 우리도 당당하게 권익을 주장할 수 있다. 세상 만사 ‘Give and Take’다. 시론 한인회 객원논설위원 한인 커뮤니티 한인 유권자들 중학교 투표소